[이투데이] 천재적인 프로그래머 윌 캐스터는 고농도 방사능이 묻은 총알을 맞고 끝내 숨진다. 그의 아내이자 역시 천재적인 프로그래머인 애블린은 남편의 생각과 사고를 전기 신로호 분석, 치환해 컴퓨터에 옮겨 담는데 성공한다. 스스로 진화를 거듭하던 이 컴퓨터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마침내 윌의 살아생전의 육체를 그대로 복원하기에 이른다.
조니 뎁이 주연해 화제가 된 영화 '트랜센던스'의 한장면이다. 마치 신이 자신을 닮은 인간을 만들어내는 듯한 모습이다. 3D 프린터가 의학분야에 도입되면서 인간의 장기까지 찍어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물론 이를 실현 하기 위해서는 의학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하지만, 3D 프린팅이 '신의 영역'에 도전할 만큼 무한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의료분야 곳곳을 파고 드는 3D 프린팅 = 미래 과학 저널리스트 스티븐 코틀러는 '헬스케어 혁명을 가져올 5가지 의료기술'로 3D 프린팅을 최우선으로 꼽은바 있다. 그가 포브스에 기고한 기사에 따르면 이미 전세계 보청기의 95%가 3D 프린터로 제작되고, 하루에 65만쌍의 치아교정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의수.의족등 각종 보철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실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한 아버지는 아들에게 3D 프린터로 제작한 인공손을 만들어줘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한 성형외과 의사가 3D 프린터를 성형수술에 도입해 의학계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에이치 성형외과 백정환 원장은 3D 프린터로 보형물을 직접 제작해 잘못 깍여나간 턱뼈, 광대뼈등에 접합시켜 원래의 형태로 되돌려놓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3D 프린터가 인식하는 정밀도는 컴퓨터 단층촬영(CT)에 비해 20~100배나 높아 아주 미세한 뼈의 굴곡까지도 딱 맞는 보형물을 제작할수 있다. 3D프린팅을 성형외과 수술에 도입해 상용화한 것은 국내 최초이고, 전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아이디어다.
보도자료 원문 바로가기